본문 바로가기
지식창고/전공

종양세포의 형태 변화와 특징

by 코코시루 2022. 4. 17.

 

종양세포의 형태 변화

- 종양세포는 다양한 형질의 변화를 초래하며, 그것은 형태 변화와 생물학적인 행동의 변화로 나타남

- 이들의 변화는 종양의 예후를 결정

 

 

양성종양 vs 악성종양

- 종양세포의 분화도와 역형성

- 성장속도

- 국소침윤성

- 전이

 

<형질의 탈락 또는 역분화>

- 분화란 미성숙한 세포가 성숙한 형태로 변화하는 성질

- 종양은 다양한 종류의 세포와 조직으로부터 발생하지만, 불완전하므로 성숙한 세포의 형태나 기능을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 본래 그 세포가 가진 정상적 분화의 기능을 상실했기 때문으로 간주됨

- 탈분화 또는 미성숙한 상태로 돌아갔다는 의미로 역분화라고 함

 

- 암종은 초기 모세포, 중간 성장단계 세포, 최종 성숙단계에서도 기원할 수 있음

- 폐에서 정상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편평세포암종이 생기는 것과 같이 전혀 다른 세포에서 화생단계나 진화단계를 거쳐 종양이 기원할 수도 있음

 

- 역분화의 원래 의미는 후방분화의 뜻이므로 성숙한 세포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암세포의 분화 정도는 역분화하였다고 할 수 있음

- 암발생에서 역분화의 개념은 암세포에서 정상적인 분화가 진행되지 못한 상태=미분화 상태

- 탈분화의 의미는 세포가 분화해 나가는 과정에서 그 방향성이 정상적 방향에서 이탈했다는 의미를 내포

 

- 분화된 악성종양은 미분화세포가 증식과정 중에 성숙함으로써 기원세포의 기능이나 구조가 유사하게 나타나는 반면에 분화가 되지 않은 악성종양은 암세포가 성숙하지 못하므로 정상적인 구조를 형성하지 못하는 것이 일반적

 

- 악성종양의 전단계로 간주하는 병변으로서 이형성이 있음

- 이형성은 세포배열의 무질서, 조직구조의 변형, 세포핵의 크기,형태,염색성 등이 정상과 달라지는 세포의 과증식 현상

- 위점막의 이형상피 및 자궁경부의 이형상피 등이 좋은 예

- 자궁경부암은 본래의 경관점막 원주상피가 편평상피로 변화하고 그 세포는 계속적으로 증식하면서 이형성으로 진행

- 이형성의 상피가 정상으로 되돌아가는 경우도 있지만 일부는 계속 진행하여 상피내암과 침윤암으로 진행

 

<형질의 분화>

- 종양세포의 형질은 기원한 조직의 세포와 아주 유사하게 분화하는 경우가 많음

- 분화는 형태학적으로나 기능적으로 비교가 되는 정상세포와 닮은 정도를 의미하므로 양성종양은 형질 분화가 잘되어 있음

- 갑상성 여포선종과 난소의 점액낭종의 종양세포는 양성이며 분화도가 좋으므로

고배율에서 종양세포로 인식이 불가능할 정도로 정상세포와 아주 유사

- 악성종양에서도 분화의 정도에 따라 종양을 고분화형,중분화형,저분화형으로 분류

- 일반적으로 분화도가 낮을수록 악성도가 높고, 악성도가 높을수록

빨리 발견하여 적출하지 않으면 치료 후의 경과도 불량

- 상피의 분화가 잘된 편평세포암종은 케라틴을, 분화도가 잘된 간세포암종은 담즙을 분비

- 내분비기관에서 발생한 선종이나 암종에서는 암세포가 호르몬을 분비하여

해당 호르몬의 기능항진증이 나타나기도 함

 

 

 

 

 

출처: 기초간호과학

저자: 최명애,조남옥/2004

발행처: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지식창고 > 전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양의 발생단계 및 원인  (0) 2022.04.18
암의 파급  (0) 2022.04.18
종양세포의 형태 변화와 특징 3  (0) 2022.04.17
종양세포의 형태 변화와 특징-2  (0) 2022.04.17
종양의 정의 및 분류  (0) 2022.04.1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