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시사창고4

넷플릭스에 대체 무슨일이? 미국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플랫폼 넷플릭스 ​ 저의 관심주식에 포함되어있던 넷플릭스. 더 내려오면 담아볼까 했습니다. ​ 아니 그런데?? 실적발표 이후 대폭락을 맞이했습니다. 넷플릭스 시총 67조원 증발 : 이날 뉴욕증시에서 넷플릭스는 전 거래일 대비 35.12% 하락한 226.19달러에 정규장 마감. -> 이는 2004년 이후 가장 큰 일일 하락폭 ​ : 종가를 기준으로 한 넷플릭스의 시가총액은 1004억달러로 하루 새 무려 540억달러 증발 ​ : 이러한 우려로 이날 디즈니(-5.56%), 로쿠(-6.17%), 워너브라더스 디스커버리(-6.04%) 등 다른 스트리밍 업체들의 주가까지 끌어내림 주가 급락의 원인은? : 증권시장은 이미 넷플릭스의 경영 악화 쪽에 베팅. ​ : 넷플릭스는 전날 장 마.. 2022. 4. 21.
경기침체 없이 인플레이션 잡기 미 연준이 경기침체를 일으키지 않고 물가를 낮출 수 있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가운데, 과거 사례에서도 알 수 있듯이 연준의 이러한 시도는 성공한 적이 없었다고.. 지난 80년간의 연준 금리정책 : 지난 80년의 연준 금리정책을 돌아보면, 연준이 현재 하려는 것처럼 물가 상승률을 약 4% 포인트나 낮추면서도 경기침체를 야기하지 않은 적은 없었음 : 80년대 초 '인플레이션 파이터' 폴 볼커 전 의장이 재임하던 시절의 연준은 '오일쇼크'로 치솟은 물가를 잡기 위해 기준 금리를 20% 정도까지 인상했었음. -> 결과는? 물가는 잡혔으나 실업률은 급등하여 미국 경제는 깊은 경기침체에 빠져들었음 지난 연준이 '연착륙'에 성공한 적이 없지는 않았음. 94년~98년, 당시 연준 의장은 (앨런 그린스펀) 1년간 기준금리.. 2022. 4. 20.
삼성전자 매도, SK텔레콤 매수하는 외국인들의 움직임 외국인 투자자들의 SK텔레콤 순매수 : 외국인 투자자는 이달 들어 전날까지 SK텔레콤 주식 1746억원어치를 순매수 : 개별 종목 가운데 상장지수펀드(ETF)인 KODEX 200TR를 제외하면 가장 많은 규모 ​ ​ ​ SK텔레콤 순매수 이유 ​ : 이를 보는 시각으로는 기업분할 이후에 업황 개선의 효과가 커지고 있으며 또한 높은 수준의 배당이 외국인 투자자에게 부각되고 있다는 것으로 풀이됨. ​ : 통신업 업황 개선에 따른 실적 개선 및 배당 확대 기대감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 ​ : SK텔레콤은 지난해 11월 반도체·정보통신기술(ICT) 사업 부문을 SK스퀘어로 떼내는 인적분할을 결정함 -> 분할 이후 통신업에 대한 매출 비중 확대로 업황 개선이 극대화될 것이란 기대감이 부풀고 있는 것 ​ : .. 2022. 4. 19.
세계 4대 곡창지대의 불모지 세계 밀 수출 1위인 러시아와 5위인 우크라이나는 전쟁으로 막대한 피해 미국과 아르헨티나는 심각한 가뭄이 작황에 악영향 중국의 코로나로 인한 봉쇄로 파종 시기를 놓침 농업 분야 내 신기술 관심 증가 : 지능형 농장 격인 '스마트팜' 관련주가 급등 : 스마트팜이란? 농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시설 농업에 정보통신기술을 접목. 원격으로 작물이나 가축의 생육환경을 관리하는 지능형 공장. ​ ​ : 그린플러스는 코스닥시장에서 전일 대비 600원(3.64%) 오른 1만7100원에 거래. 장중 고가는 1만8050원 ​ : 국순당 주가는 장중 한때 1만2950원까지 치솟으며 52주 최고가를 경신. 국순당은 스마트팜 업체 '팜에이트'의 2대 주주. 최근 제출된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지분율은 23.92% ​ ​ ​ 세계 4.. 2022. 4.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