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양의 정의
- 일반적으로 신생물 또는 종양(tumor)은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정상적인 세포로부터
생물학적 성상이 다른 비정상적인 세포가 발생하여 인체 내 조절 기능에 지배를 받지 않으며 과잉으로 증식된 조직을 말하며, 대부분은 종괴를 만듦
- 암(cancer)은 게라는 말에서 기원
-> 암이 마치 게같이 조직 내로 침투하는 양상을 나타내기 때문
종양의 분류
<악성도에 의한 분류>
- 종양의 임상 기준으로 악성도(malignancy)에 의한 분류가 있는데 예후가 좋은 종양을 양성종양
- 예후가 나쁜 종양을 악성종양
- 악성종양의 지표가 되는 악성도에는 단계가 있고 일반적으로 암세포의 분화 정도에 따라
저도, 중증도, 고도의 3단계로 구분
- 양성과 악성의 구별이 어려운 종양을 특히 경계성 악성종양, 저 악성종양으로 분류하는 경우도 있음
- 종양의 일반적 생물학적 특성은 양성종양은 천천히 자라고, 주변 조직에 침윤이 없으며 전이를 하지 않고, 외과적 절제가 용이하여 치료가 쉬움
- 악성종양은 성장 속도가 빠르며, 주변 조직에 침윤, 전이, 외과적 처치 후에도 생존율이 저조함
<조직 발생에 의한 분류>
- 조직은 구조적으로 실질과 간질로 구성
- 실질조직은 증식하고 있는 종양세포의 집단
- 간질 조직은 종양세포 간세포 사이와 세포 집단을 둘러싸고 있는 결합조직으로 이루어짐
- 종양은 발생 조직에 따라 상피성(epithelial) 종양과 비 상피성(non-epithelial) 종양으로 구분됨
- 상피성 종양을 암종(carcinoma)이라 하고 비 상피성 종양을 육종(sarcoma)
- 상피성 종양은 종양의 실질조직이 상피세포에 유래된 것을 말함
- 간질 조직은 지지조직일 뿐
- 비 상피성 종양은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실질 세포가 종양화 된 것
- 악성 상피성 종양인 경우 그 구성이 실질인 상피세포 성분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간질이 적으며 견고성이 약하여 비교적 연한 것을 수질암(medullary carcinoma)이라 함
- 간질 조직 성분이 현저하게 많아 단단한 것을 경성암(scirrhous carcinoma)이라고 함
- 중추신경계와 신경조직은 외배엽성 유래이지만, 상피성 종양으로부터 구분되어있어 암종이라고 하지 않고 뇌신경계의 고유 명칭을 사용
- 종양의 분류 원칙은 기원한 모세포의 분별이 가능한 세포는 기원세포의 이름을 사용하여 어미에 -종,-암종,-육종 등을 붙여 분류
출처: 기초간호과학
저자: 최명애,조남옥/2004
발행처: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지식창고 > 전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양의 발생단계 및 원인 (0) | 2022.04.18 |
---|---|
암의 파급 (0) | 2022.04.18 |
종양세포의 형태 변화와 특징 3 (0) | 2022.04.17 |
종양세포의 형태 변화와 특징-2 (0) | 2022.04.17 |
종양세포의 형태 변화와 특징 (0) | 2022.04.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