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윤과 침습
- 거의 모든 악성종양들은 섬유성 피막으로 둘러싸여 있고, 발생부위에 국한된 팽창성 종괴로 성장하는 것이 특징
- 팽창성 성장으로 주변을 압박하며 자라서 피막으로 둘러싸인 악성종양은 외과적으로 완전히 적출될 수 있음
- 악성종양은 대부분 침윤성 성장을 하며 피막화하지 않으나 피막이 없다고하여 악성종양을 뜻하는 것은 아님
- 악성종양 중 자궁평활근종, 림프종, 진피섬유종 등은 피막이 없기 때문
- 악성종양은 주변 조직에 침윤하여 파괴하며 성장하는 것이 특징
- 악성종양은 암을 외과적으로 완전히 제거하는데에 어려움을 줌
- 암을 제거할 때 주변 림프절과 함께 정상으로 보인은 상당한 주변조직까지도 포함하는 근치술이 필요함
- 양성종양과 악성종양을 감별할 수 있는 결정적 소견은 전이
- 전이는 발생조직에서의 침습
- 침습 전 단계의 암종은 상피내암종 혹은 제자리 암종이라 함
-> 자궁경부에서 잘 볼 수 있음.
- 상피내암종은 세포학적으로 기저막을 침범하지는 않으나 시간이 경과하면 대부분 기저막을 뚫고 상하부의 간질조직으로 침습
전이
- 악성종양의 가장 중요한 생물학적 특징은 이들 종양세포가 원발 부위에서 다른 부위로 확산, 전이된 후 새로운 환경에서 적응하고 증식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
- 전이란 악성종양이 그 원발 부위로부터 여러 경로를 통해 다른 원격 부위에 이식된 경우.
- 원발 부위의 종양을 원발성, 일차성 종양 전이된 속발성, 이차성 또는 전이성 종양이라고 함
- 양성종양은 전이를 하는 일이 없으므로 전이를 한 종양은 악성종양이라는 증거도 됨
- 암의 전파는 직접 파종성, 림프행성, 혈행성 경로 중 어느하나를 통해 일어남
<종양의 증식과 확장>
- 양성종양은 발생한 부위와 내장기관에 국한되고, 대부분의 경우에 피막이 싸인 형태를 나타냄
- 그 증식 양식은 주위 조직으로 팽창성 또는 확대성으로 넓어짐
- 악성종양은 주위 조직으로 침윤성으로 발육하고, 정상조직을 침습하거나 파괴함
- 악성종양세포의 대부분은 포도당분해효소, 콜라겐분해효소, 금속단백분해효소와 단백분해효소 등의 분해효소를 생산함
- 종양세포의 덩어리가 우선 유리상태로 되고, 주위로 이동해 감
-> 종양세포가 유리되는 이유는 부착분자의 돌연변이로 암세포의 부착력이 떨어짐
<파종성 전이>
- 체강 표면과 점막 표면에 파종, 즉 씨를 흩뿌린 듯이 퍼진 경우와, 수막의 표면을 따라서 퍼지는 경우 등이 알려짐
- 난소암이 복막 표면으로 퍼지는 경우가 많은데 그 상태를 암성 복막염이라고 함
- 위암이 진행되면 복강 내에 암병소가 파종되며 심한 복수를 동반하기도 함
- 폐암이 흉막에 전이되고, 그 표면에 파종을 형성하는 경우를 암성 흉막염이라고 함
- 소아의 소뇌에 발생하는 수모세포종과 뇌실 주변의 뇌실막종이 수막 표면에 파종성으로 퍼짐
<림프행성 전이>
- 암에서는 림프행성 전이가 대부분
- 육종은 혈행성 전이가 대부분
- 악성종양이 숙주 내에 광범위하게 퍼진 예에서는 림프행성 전이와 혈행성 전이 모두에 의한 것이 많음
- 림프행성 전이는 우선 소속 림프절부터 침범
- 폐암에서는 동측의 폐문부 림프절
- 유방암은 유방의 외측 상방에 많이 발생하므로 동측의 액와부 림프절로의 전이를 일으키는 것이 많음
- 위암은 림프행성의 전이가 많아 주변 림프절 등에 전이를 형성하기 쉽고, 계속되면 복강대동맥 주위 림프절 등으로 전이하고, 특히 좌쇄골상 림프절 소위 비르효림프절 전이가 흔함.
<혈행성 전이>
- 악성종양세포가 혈류를 따라서 원발소에서 떨어진 부위와 조직으로 운반됨
- 폐, 간, 뼈 등은 혈행성 전이를 가장 자주 볼 수 있는 내장기관 조직
- 실제적으로 생명의 위험성에서 보면, 혈행성 전이가 림프행성 전이보다도 중요
<암세포의 전이과정>
- 혈관 또는 림프관강 내로 침입 -> 종양세포가 침입한 부위에서 유리되고 종양색전의 형태로 원격의 내장기관 조직에 도달함-> 종양색전이 그것들의 내장기관 조직에 정착-> 정착한 부위에서 혈관벽을 통과하고 주위의 조직으로 침윤하며 증식하기 시작 -> 전이소가 형성되면 전이한 암병소 내에 혈관 신생이 일어남. 혈관 신생은 암세포의 생존과 증식에 중요하며 혈관 생성인자를 암세포가 분비함
출처: 기초간호과학
저자: 최명애,조남옥/2004
발행처: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지식창고 > 전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양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0) | 2022.04.18 |
---|---|
종양의 발생단계 및 원인 (0) | 2022.04.18 |
종양세포의 형태 변화와 특징 3 (0) | 2022.04.17 |
종양세포의 형태 변화와 특징-2 (0) | 2022.04.17 |
종양세포의 형태 변화와 특징 (0) | 2022.04.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