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양의 발생단계
- 정상세포가 종양세포로 되는 과정은 다단계로 생각되는데 개시가 제1단계이고, 촉진이 제 2단계 발암과정의 설명으로, 개시에 작용하는 것을 개시제라 하고, 촉진에 사용하는 것을 촉진제
- 다단계 발암과정은 피부에서 DMBA에 의한 피부암 모델에서 잘 나타남
- 다단계 발암과정이라는 것은 암화 개시->촉진->진행->암종의 여러 단계를 거침
- 정상세포가 발암물질의 영향을 받아서 세포 내에 비가역적인 변화를 일으키고, 이것이 진행되어 암이 발생한다고 하는 견해를 기초로 함
- 인체에서 발생하는 다수의 악성종양도 전단계 암종인 전구암종들이 많이 알려짐
종양의 원인
- 종양 발생의 원인은 외부에서 원인이 가해지는 요인(외인성 발암요인)과, 인체 또는 자신에 내재해 있는 유전요인(내제성 발암요인)으로 구분
- 대부분의 종양은 환경요인과 유전요인이 상호작용하여 발생한다고 생각
환경요인
- 외인성 발암요인으로 환경요인이 주된 원인
- 화학 발암물질, 물리적 발암물질, 종양바이러스
유전요인
- 내인성 발암요인으로 유전적 요인, 내분비환경 및 면역상태
- 특정 가계 내에 일정한 암이 호발된든 경우가 있는데, 나폴레옹 1세의 가계는 위암가계로 유명
- 망막세포종, 신경섬유종증, 윌름즈종양이나 가족성대장 폴립증 등은 유전적 요인이 지배적
- 망막세포종의 종양억제유전자가 있는데 이 유전자의 결손으로 망막세포종이 발생됨이 증명됨
면역학요인
- 면역학의 진보에 따라 암세포의 종양 관련 항원이 밝혀지고, 종양의 증식과 억제에 개체의 면역상태가 크게 관계하고 있는 것이 알려짐
- AIDS 환자나 면역억제제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생리적으로 흉선이 퇴축되어 있는 노인의 경우 면역 감시 기구를 포함한 면역력의 저하 내지는 불완전상태로 암의 발생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
종양유전자
- 정상세포가 어떻게 해서 암화되는가에 대하여는 세포종양유전자가 사람의 암세포에서도 발견되어 암화와의 관련성이 많이 밝혀짐
- 분자생물학적 방법으로 약 30종의 세포종양유전자가 발견됨
- src 유전자, ras 유전자, myc 유전자군, sis 유전자
- 발암과정에서 이들은 정상세포의 변이를 일으켜 정상적인 제어를 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암을 유발함
- 이들 모든 암유전자는 종양유전자의 증폭과 DNA의 구조에 돌연변이, 전위 또는 과활성화를 일으킴
악성종양의 등급과 병기
악성종양의 병기와 TNM 분류
- 악성종양의 등급은 악성 정도와 공격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종양세포의 세포학적 분화 정도를 기준으로 I,II,III,IV 등급으로 구분됨
- grade IV는 분화도가 가장 낮은 세포로 구성되어 있음을 의미, 각 등급 간의 명확한 구분은 어려움
- 악성종양의 병기는 환자의 예후를 추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종양의 크기,
림프절로의 침범 및 전이 여부에 따라 종양을 평가한 것으로 임상적, 방사선적 및 수술적 방법을 통해 사정
- 현재 2가지 방법으로 병기를 판단하는데, TNM분류와 AJC 분류
- TNM분류가 더 널리 사용
- T(tumor)는 원발성 종양의 크기
- N(node)은 종양이 침범한 림프절의 수
- M(metastasis)은 전이의 유무를 의미
- TNM 분류에서는 T는 T0(종양이 없음), T1(<2cm), T2(2~5cm), T3(T2보다 크나 장기 내에 국한), T4(주변 조직과 유착 및 침윤)
- N0(림프절 전이 없음), N1(국소 림프절 전이, 림프절이 움직임), N2(원위 림프절 전이, 림프절이 고정됨)
- M0(전이 없음), M1(전이 있음)
출처: 기초간호과학
저자: 최명애,조남옥/2004
발행처: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지식창고 > 전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리학적 고려 (0) | 2022.04.19 |
---|---|
종양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0) | 2022.04.18 |
암의 파급 (0) | 2022.04.18 |
종양세포의 형태 변화와 특징 3 (0) | 2022.04.17 |
종양세포의 형태 변화와 특징-2 (0) | 2022.04.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