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창고/전공

월경성 기흉

by 코코시루 2022. 7. 18.

 

 

 

기흉의 구분

 

: 원발성 기흉은 몸에 이상이 없으나 건조, 마찰에 의해 생김.
: 속발성 기흉은 폐질환을 동반
: 외인성 기흉은 외부 충격에 의해 생김

: 호르몬성 기흉은 월경성 기흉,림프관평활근종증,성장기 남성기흉 마르팡 증후군, 호모시스틴요증, 버트-호그-두베 증후군 같은 유전질환에서 자주 발생함.-> 17번 염색체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버트-호그-두베 증후군은 암이 잘 발생하는 체세포 우성 질환인데, 신장암과 대장암의 발생률이 높음.-> 이 때 환자의 22%에서 기흉이 발생한다고 보고되어 있음.

 

호르몬성 기흉

성장기 남성 기흉

: 청년기의 키큰 남성에게 나타나는 기흉

: 원발성기흉+호르몬성기흉

: 2차 성징시기에 나타남

: 건조증과 호르몬 불균형(남성호르몬, 성장호르몬의 과잉)을 동반

 

 

월경성 기흉 (catamenial pneumothorax)

: LAM(림프관평활근종증)의 경우 가임기 여성에게 나타나며 많은 환자들이 월경성기흉을 동반하는데 이는 여성호르몬의 분비량과 관련 높음

: 월경성 기흉은 자궁내막증과 관련있음.

: 자궁내막조직이 횡경막이나 폐 부위에서 발견되는 경우 있음

: 월경 시작 후 48~72시간 내에 발생

: 경구 피임약 복용으로 배란이 일어나지 않을 때는 절대 발생하지 않음

: 월경 중 여성호르몬의 일종인 프로스타글란딘 E2의 농도가 올라가면서 폐의 허파꽈리가 파열되거나, 자궁으로부터 떨어져나간 점액이 가로막을 통해 가슴 안으로 유입돼 가슴이나 허파에 자궁내막증이 생기면서 기흉이 생기는 것으로 알려짐

: 90% 이상 대부분 우측에서 발생

: 치료법은 일반적인 자연 기흉과 동일하나 치료 후 배란억제제를 투여

 

 

 

 

출처: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07101200346& 

 

생리, 입으로 한다고?

--> 2021.3.19--> --> <!-- --> 생리, 입으로 한다고? 2007/10/12 09:55 김모(22)씨는 월경을 시작한지 1~2일이 지나면 가슴에 심한 통증이 생기고 숨이 찬다. 기침과 동시에 입에서 피도 나온다. 그녀는 병원에

m.health.chosun.com

 

'지식창고 > 전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온  (0) 2022.10.13
신장의 구조  (4) 2022.10.13
혈관의 구조와 기능  (0) 2022.04.22
심장의 기능 3  (0) 2022.04.22
심장의 기능  (0) 2022.04.2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