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혈액이 인체 각 조직으로 순환할 수 있도록 압력을 제공해 주는 펌프
- 좌측 심장은 폐에서 가스교환을 하고 돌아온 혈액을 인체 각 조직으로 운반
- 우측 심장은 전신에서 돌아온 혈액을 폐로 운반
- 매 심박동 시마다 심실은 약 70 mL의 혈액을 동맥계로 박출 = 일박출량
- 심박동은 매분 약 70회 = 심박동수
- 1분 간 좌우 심실이 박출하는 혈액량 = 심박출량
- 안정 시 각 심실은 1분에 70X70mL=4900mL를 박출하여 거의 5L에 가까운 혈액 박출
- 정상 성인의 혈액량 = 약 5L
- 혈액 전부가 1분 동안에 심장을 통과
- 심박출량은 일박출량이 증가하거나 심박동이 더 빨라질 때 또는 양쪽 모두의 경우에 증가
일박출양의 조절
- 안정 시 건강한 심장은 좌우 심실에 존재하는 혈액의 약 60%를 박출
- 일박출량은 이완기 말 혈액량 (EDV)과 심실수축 후에 심실에 남아 있는 수축기 및 혈액량(ESV)간의 차이
- EDV는 약 120 mL
- ESV는 약 50 mL
- 일박출량을 산출하는 계산식
SV=EDV-ESV
=120mL/beat-50mL/beat
=70mL/beat
- 우심실과 좌심실은 박동시 마다 약 70mL 혈액 박출
- 몇몇 요인이 EDV나 ESV의 변화를 일으킴으로써 SV에 영향을 미침
- 가장 중요한 3가지 요인은 혈액에 의해 신장되는 심실 내 혈액량이 전부하,
심근섬유의 수축력, 큰 혈관의 혈액에 의한 역압력인 후부하
- 전부하는 EDV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수축력과 후부하는 ESV에 영향을 미침
전부하
- 스탈링 법칙으로는 일박출량을 조절하는 결정적인 인자는 전부하 또는 심장이 수축하기 직전의 심근세포의 신장 정도
- 보다 많은 심근섬유가 신장하면 할수록 수축력은 보다 더 커짐
- 심근을 신장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심장으로 되돌아오는 심실을 확장시키는 혈액량
- 혈액량 또는 정맥귀환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모든 요인이 EDV를 증가시켜 결국 일박출량을 증가시킴
- 심박동수가 느리면 심실로 혈액이 유입되는 시간이 길어짐
- 운동은 심박동수를 증가시키고, 골격근 수축으로 정맥을 눌러 심장으로 귀환하는 혈액량을 증가시키므로 정맥귀환을 빠르게 함
- 일박출량은 활발히 운동을 하는 동안에 2배가 됨
- 심한 혈액손실이나 극도로 빠른 심박동수로 기인되는 정맥귀환량의 저하는 일박출량을 줄이고 EDV를 감소
- 전신순환과 폐순환이 직렬로 되어 이러한 내인성 기전이 두 순환 사이에 혈액량을 적절하게
분포시키고 심실로부터 동일한 양의 혈액을 박출하게 함
출처: 기초간호과학
저자: 최명애,조남옥/2004
발행처: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지식창고 > 전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관의 구조와 기능 (0) | 2022.04.22 |
---|---|
심장의 기능 3 (0) | 2022.04.22 |
심장의 구조 2 (0) | 2022.04.21 |
심장의 구조와 기능 (0) | 2022.04.21 |
혈액응고 약리학 (0) | 2022.04.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