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창고/전공

폐기능

by 코코시루 2022. 11. 1.

 

 

폐기능은 임상적으로 폐활량계에 의해 측정됩니다.

폐활량계는 폐를 출입하는 공기의 용적을 측정하는 장치이며 폐활량계에 의하여 기록된 그림을 호흡곡선이라고 합니다.

호흡곡선은 폐가 간직하는 공기량을 조건에 따라 4개의 용적과 4개의 용량으로 구분합니다.

 

 

1) 폐용적

(1) 1회 호흡량 (Tidal volume,TV)

안정상태에서 호흡시 1회 들이마시고 내쉰 공기의 양을 말합니다.

일회 환기량이라고도 합니다.

성인은 정상에서 보통 500mL 입니다.

 

 

(2) 예비흡기량(Inspiratory reserve volume, IRV)

정상적인 호흡에서 공기를 들이마신 후 최대로 더 들이마실 수 있는 공기의 양을 말합니다.

흡식 예비량이라고도 합니다.

정상범위는 2,500~3,000mL 입니다.

 

 

(3) 예비호기량(Expiratory reserve volume, ERV)

정상적으로 내쉰 후에도 폐에는 여전히 많은 공기가 남아 있습니다.

이중 호식근육들의 적극적인 수축으로 최대로 내쉴 수 있는 공기량을 말합니다.

호식 예비량이라고 합니다.

보통 1,200mL 입니다.

 

 

(4) 잔기량(Residual volume, RV)

최대로 강하게 호식을 한 후에도 폐에는 여전히 공기가 남아 있습니다.

이 남아 있는 기체의 양을 말하며 잔기용적이라고도 합니다.

기능적잔기량과 예비호기량의 차로 계산합니다.

정상치는 약 1,200mL 입니다.

 

 

2) 폐용량(pulmonary capacity)

폐용적 중 두 가지 이상을 합한 것을 말합니다.

 

 

(1) 흡식용량(Inspiratory capacity, IC)

1회 호흡량과 예비흡기량을 합한 것을 말합니다.

정상적으로 흡식한 공기의 양과 최대한으로 들이마실 수 있는 공기의 양을 더합니다.

=TV+IRV

약 3,600mL입니다.

 

 

(2) 기능적 잔기용량(Functinal residual capacity, FRC)

잔기량과 예삐호기량을 합한 것입니다.

=RV+ERV

정상적인 호식 후 폐에 남아 있는 공기의 양 입니다.

약 2,400mL 입니다.

 

 

(3) 폐활량(vital capacity, VC)

최대한으로 숨을 들이마신 후에 최대한으로 내쉴 수 있는 공기의 양입니다.

일회 호흡량과 에비흡기량에 예삐호기량을 합한 값입니다.

=TV+IRV+ERV

건강한 젊은 성인 남자의 폐활량은 약 4,800mL입니다.

 

 

(4) 총 폐용량(Total lung capacity, TLC)

최대의 흡식으로 폐내에 수용할 수 있는 공기량입니다.

모든 폐용적을 합한 것입니다.

=VC+RV

정상성인에게 정상치는 약 6L입니다.

나이, 성별, 체격에 따라 다양합니다.

 

 

출처: 인체생리학 현문사 개정4판 (2001, 이강이외)

'지식창고 > 전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질성 방광염(Interstitial Cystitis)  (0) 2022.11.01
급성 신우신염(Acute pyelonephritis)  (0) 2022.11.01
소세포폐암 (small cell lung cancer)  (0) 2022.11.01
식도암 (esophageal cancer)  (0) 2022.11.01
뇌 (brain)  (0) 2022.10.3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