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는 신경계의 총수로서 두개골 속에 있는 무게 약 1,500g 정도의 기관입니다.
중추신경계에서 척수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뇌라고 합니다.
척수에서와 마찬가지로 반사중추의 역할도 하지만 부위에 다라 보다 더 고차원적인 기능의 여러 가지 다른 활동을 합니다.
척수는 가장 하위수준에 있으며 연수, 교, 중뇌, 시상하부, 시상, 대뇌피질 순으로 기능이 고차원적입니다.
정교하고 중요한 기능일수록 하위구조에서 상위구조로 옮겨가는 현상을 볼 수 있는데 이를 대뇌화라고 합니다.
1.대뇌
1) 대뇌피질
(1) 구조
대뇌(cerebrum)는 가장 고위중추로써 고차원의 정신기능과 활동을 담당합니다.
뇌신경의 80% 즉 두개강의 약 2/3를 차지하며 표면은 회백질인 피질로써 그 두께는 4~6mm이고 안쪽은 백질인 수질로 되어있습니다.
대뇌의 표면은 깊게 패인 구와 고랑에서 융기된 회에 의해 많은 주름이 형성되어 면적이 넓습니다.
대뇌피질은 부위에 따라 세포층의 구조가 여러 가지로 다르기때문에 이런 특징을 토대로 하여 대뇌피질을 영역으로 세분화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은 brodman에 의하여 세분된 분류를 들 수 있습니다.
세로로 파인 대뇌종열에 의해 좌,우 대뇌반구로 나뉩니다.
신경섬유가 척수나 연수에서 교차하기 때문에 우측대뇌반구는 신체의 좌측기관을 지배하고 좌측대뇌반구는 신체의 우측기관을 지배합니다.
일반적으로 좌측 뇌는 말을 잘하고 논리적이며 분석적입니다.
우측 뇌는 공간감각이 우세하며 예술적이며 감정에 약합니다.
그 위치에 따라 4개의 엽으로 구분됩니다.
그러나 대뇌반구는 신체의 양쪽에서 정보를 받습니다. 이는 대뇌 좌우반구는 뇌량에 의해 서로 정보를 교신하기 때문입니다.
뇌량은 전기 화학적 전도회로가 과부화되었을 때 경련을 유발하는 곳이 될 수 있습니다.
뇌량은 나이가 들수록 양과 세포의 질이 떨어져 노인정신장애와 관련됩니다.
전두엽
대뇌피질의 앞부분으로 전체 40%를 차지하며 운동기능, 자율기능, 감정조절, 식별학습 및 의욕과 창조의 영역입니다.
두정엽
대뇌피질의 윗면 중앙부분으로 면적은 전체의 약 21%정도로써 감각영역, 기억, 이전의 것과 비교, 인식, 이해, 판단영역이 있으며 이런 여러 가지 기능때문에 지식이 형성되고 지능이 높아집니다.
측두엽
대뇌피질의 측면으로 전체의 21%의 면적이며 양쪽 귀의 달팽이관으로부터 감각섬유를 받는 청각영역과 언어중추가 있는 영역입니다.
특히 언어인식에 필요한 영역으로 판단과 기억에 관한 통합이 이루어집니다.
시각정보의 분석과 통합에도 관여합니다.
후두엽
대뇌피질의 뒤쪽으로 전체의 17% 정도의 면적입니다. 사각영역이 이곳에 있습니다.
피질 밑에는 백질이 있는데 이에는 피질의 세포들과 연결되는 신경섬유가 여러 방향으로 달리고 있습니다.
출처: 출처: 인체생리학 현문사 개정4판 (2001, 이강이외)
'지식창고 > 전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세포폐암 (small cell lung cancer) (0) | 2022.11.01 |
---|---|
식도암 (esophageal cancer) (0) | 2022.11.01 |
중추신경계 (0) | 2022.10.31 |
전립선암 (prostate cancer) (0) | 2022.10.31 |
폐 (lung) (0) | 2022.10.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