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종양지표자#암배아항원#CEA#acid phosphatase#성선자극호르몬#핵형의이상#생화학기능변화1 종양세포의 형태 변화와 특징 3 암세포의 구조 및 기능의 변화 - 암세포로 전환되면 세포막 내에 있는 물질 중 당단백, 파이브로넥틴의 감소로 인한 세포막의 변화와 세포골격에 변화가 초래되어 증식하는 세포 간 접촉억제현상이 나타나고 부착력이 감소됨 - 세포 간 접착능력이 감소하여 쉽게 떨어져 나가므로 전이능력이 증가 - 정상에서는 관찰되지 않는 암유전자나 필라델피아 염색체와 같은 표지 염색체가 출현한다든가 염색체 수가 다배수성 또는 홑배수성으로 증가하게 됨 - 성숙한 세포에서는 생산하지 않는 종양 특이 항원이나 바이러스 관련 항원 그리고 태아기에 출현했던 단백이 출현하는 암배아항원(CEA)과 알파태아단백질 등이 나타나기도 함 - 전립선암에서는 acid phosphatase와 같은 효소가, 형질세포종양인 다발성 골수종에서는 면역글로불린이 .. 2022. 4. 1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