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심박동수조절1 심장의 기능 3 수축력 - contractility는 근육 신장이나 EDV와는 무관한 수축할 수 있는 힘 - 강력한 수축은 세포외액과 근장그물에서 세포질로 칼슘유입이 증가한 직접적인 결과 - 교감신경 자극의 증가에 의한 수축력 증가는 심장에서 혈액이 더 완전하게 박출하도록 함 -> ESV는 감소, 일박출량은 증가 - 교감신경섬유는 전도계뿐 아니라 심장 전체에 작용 - 노르에피네프린 또는 에피네프린 분비의 영향으로 칼슘 유입을 증가 - 칼슘은 심근세포의 마이오신 교차다리와 액틴의 결합을 증가시켜서 심실근 수축력을 증가 - 수축을 억제시키는 요인은 산증, 세포외액의 칼륨농도증가, 칼슘 통로 차단제 후부하 - 심실이 혈액을 박출할 때 극복해야 하는 압력 - 동맥혈에 의해 대동맥판막과 폐동맥판막에 가해지는 역압력 - 건강한 사.. 2022. 4. 22. 이전 1 다음 반응형